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와 비슷하나 기준이 다른 몇 가지 장애와 질환

반응형
반응형

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지만, 진단 기준이 다른 몇 가지 장애와 질환이 있습니다. ASD와 혼동될 수 있는 주요 질환입니다.

1.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(SCD,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)

  • ASD와 유사하게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.
  • 그러나 반복적 행동이나 제한된 관심사는 나타나지 않음.
  • 주로 언어적,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초점이 맞춰진 장애.

2. 지적 장애(Intellectual Disability, ID)

  • 전반적인 인지 능력과 학습 능력이 저하된다.
  • ASD와 달리 반복 행동이나 감각 민감성이 주된 특징이 아님.
  • ASD와 동반되는 경우도 많아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.

 

3. 주의력결핍

과잉행동장애(ADHD,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)

  • 집중력 부족, 충동적 행동, 과잉 활동이 주요 증상.
  • ASD 아동도 주의력 문제를 보일 수 있어 혼동될 수 있다.
  • 그러나 ASD는 사회적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반복 행동이 주요 특징이라 다르다.

4. 강박장애(OCD, Obsessive-Compulsive Disorder)

  • 반복적인 행동(예: 손 씻기, 확인 행동)과 강박적인 사고가 특징이다.
  • ASD에서도 반복 행동이 나타나지만, 강박장애는 불안 완화를 위한 목적이 있다.
  • ASD의 반복 행동은 감각적 즐거움이나 습관적 이유일 가능성이 크다.

5. 뚜렛 증후군(Tourette Syndrome)

  • 반복적인 틱(근육 움직임, 음성 틱 등)이 주요 증상이다.
  • ASD 아동도 틱과 유사한 행동(예: 반복적인 몸짓)을 보일 수 있다.
  • 그러나 뚜렛 증후군은 사회적 의사소통 문제보다는 신경학적 운동장애가 핵심이다.

6. 선택적 함구증(Selective Mutism, SM)

  • 특정한 상황(예: 학교, 공공장소)에서 말을 하지 않는 장애이다.
  • ASD에서도 언어 발달이 지연될 수 있지만, 선택적 함구증은 특정 환경에서만 발생.
  • 불안 장애와 관련이 깊다.

7. 감각 처리 장애(SPD, Sensory Processing Disorder)

  • 소리, 빛, 촉감, 맛, 냄새 등에 과민하거나 둔감한 반응을 보인다.
  • ASD에서도 감각 과민성이 흔하지만, SPD는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없이 감각 문제만 존재한다.

8. 언어 발달 장애(Language Development Disorder, LDD)

  • ASD처럼 언어 발달 지연이 있지만, 사회적 의사소통이 상대적으로 유지됨.
  • ASD는 비언어적 의사소통(몸짓, 눈 맞춤)도 어려운 반면, LDD는 주로 언어적 문제에 국한됨.

정확한 진단이 중요한 이유

이러한 장애들은 ASD와 일부 증상이 겹칠 수 있어 혼동되지만, 각각의 원인과 개입 방법이 다릅니다.
따라서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합니다.

 

반응형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